1. 마후라에 휴지를 대고 젖는지 여부 (안젖으면 상태 별로 안좋음)

2. 마후라 연소통에 손가락을 넣었을때 먼지 여부 (먼지 많이나오면 상태 안좋음)

3. 엔진 브레이크 5~6단인가? (7단이상부터 가면 마모가 심한것 = 라이닝 마모 상태 불량임.)

4. 본네트 열었을때 나사 조임상태 (움직이거나 나사 상태가 그대로가 아니면 수리한거임)

5. 본네트 열어서 엔진상태 좋은지 알때 종이컵에 물 담아서 올려보기 (심하게 움직이면 상태불량)

6. 엔진오일통 상태 알려고할때 (오일뚜겅 색깔이 연하게 좋은것) 냄새가 안나야함

7. 브레이크통 열어봐야함 (통에 브레이크 오일대신 소주?!) =위급상황시만 넣자..

8. 연락을 해서 차량을 직접 판매하는 사람인지를 확인하고 차량 등록증을 보내달라고 해야 합니다. 허위매물이라면 등록증은 존재하지 않겠죠?^^;;

9. 침수차량 파악


☆ 차량 내부의 악취

차량이 한번 침수되면 이후 건조를 시켰다 할지라도 실내에서 곰팡이 흔적이나 악취가 날 수 있다. 모든 창문과 도어를 닫고 에어컨과 히터를 작동시켜 악취 여부를 확인하고 내부 시트에 곰팡이 흔적이 있는지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또한, 과다한 방향제를 사용한 흔적이 있다면 역시 침수 차량으로 의심해봐야 한다. 특히 맑은 날씨보다는 비가 오는 날에 중고차를 보러 간다면 차량 내부에서 악취가 날 가능성이 더욱 높기 때문에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  안전벨트와 시거잭 확인

내 부를 꼼꼼히 청소를 하더라도 안전벨트는 끝까지 청소하기 어려운 부분이기 때문에 안전벨트를 당겨 침수 차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안전벨트를 끝까지 당겨 안쪽의 진흙 흔적이나 물때를 살펴봐야 한다. 또한, 시거잭이 물에 닿는 경우는 침수를 제외하고는 거의 힘들기 때문에 면봉으로 시거잭 안쪽을 살펴 녹이 슬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 시트 밑 흙탕물 확인

차량 시트 밑바닥을 확인해 흙탕물 흔적이나 물때의 흔적이 있을 시 침수 차량일 가능성이 크며 트렁크 또한 열어서 침수 여부를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  운전석 및 조수석 휀다 홀 확인

침수 차량의 경우 운전석과 조수석 휀다 쪽 홀에 흙탕물 앙금이 남아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홀 안쪽을 잘 살펴 침수의 여부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힘들때  (0) 2016.04.08
논산 펜션 알아보기  (0) 2016.04.08
나의 통장에 86400원이 매일 입금된다면?  (0) 2016.03.22
이민에 관하여  (0) 2016.01.24
이민에 대해서  (1) 2016.01.24

+ Recent posts